우진교통 (충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진교통은 2001년 충북리무진이 충일관광여행사 청주시내사업부를 인수하여 설립된 충청북도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2004년 부도 이후 노동자 자주관리 기업으로 전환하여 운영되었으며, 2020년 10월 기준 청주시에서 가장 많은 129대의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2005년 저상버스 도입, 차고지 이전 등 여러 변화를 겪었으며, 2014년 하이브리드 버스 도입, 2015년 제2차고지 건립 등 시설 확충을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시내버스 기업 - 청주교통
청주교통은 1979년 충북교통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청주시 시내버스 회사로, CNG 버스 도입, 마을순환버스 노선 인수 등을 거쳐 코리아와이드 계열에 속하며, 북부공영차고지 운영권 확보 후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 충청북도의 시내버스 기업 - 동일운수 (충북)
동일운수는 1974년 설립되어 30대 시내버스로 시작하여 현재 80대를 운행하며, 다양한 수상 경력과 친환경적인 노력을 통해 청주시의 시내버스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 충청북도의 버스 기업 - 친선고속
친선고속은 1951년 친선버스로 설립되어 충주를 기반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2001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지역을 기점으로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노선망을 구축하고 있다. - 충청북도의 버스 기업 - 충북리무진
충북리무진은 1966년 충북교통으로 설립되어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운송 기업으로, 농어촌 버스 사업 분리 및 매각, 청주시 시내버스 사업 독립 등의 사업 구조 재편과 공항버스 노선 확장을 거쳐 현재 대전, 세종, 청주, 증평 등 주요 도시를 기점으로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 200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는 고객 화물 운송, 보관, 하역을 담당하는 종합물류 회사이며, 해상, 항공, 내륙 운송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로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갖추고 있다. - 200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아여객
동아여객은 2001년 제일여객 부도 이후 설립된 시외버스 운송 업체이며, 진해, 김해, 거제, 부산 방면으로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창원 시내버스 노선을 공동 배차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우진교통 (충북)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우진교통 주식회사 |
원어 | Woojin Traffic |
종류 | 협동조합형 노동자자주기업 |
창립 | 2001년 1월 8일 |
장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중고개로125번길 27 (용암동)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김재수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자본금 | 2,900,000,000원 |
매출액 | 23,076,933,504원 |
영업이익 | -1,868,300,524원 |
순이익 | -1,184,400,594원 |
자산총액 | 24,057,465,724원 |
운행 정보 | |
보유 차량 | 107대 |
운행 지역 | 청주시 전역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충청남도 천안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
종업원 | 346명 (2020.12) |
기타 | |
웹사이트 | 우진교통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우진교통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2001년 ~ 2004년: 설립 초기
- 2001년 1월 8일: 충북리무진[1]이 충일관광여행사 청주시내사업부를 인수하여 설립하였다.
- 2002년: CNG 버스를 도입하였다.
- 2003년 7월 9일: 충북지방노동위원회에서 임금체불 등으로 5% 중재안도 거부당하자 동일운수, 청신운수와 함께 파업에 참여하였다.[2]
- 2003년 7월 10일: 노사가 한 발씩 양보하는 선에서 운행을 재개하였다.[3]
- 2004년 7월 24일: 끊이지 않는 임금체불 등으로 파업에 돌입, 운행이 중단되었다.[4]
- 2004년 8월 25일: 사측은 직장폐쇄로 맞섰다.[5]
- 2004년 9월: 회사가 부도를 맞게 되었다.[6]
- 2004년 11월: 청주시는 우진교통의 버스사업 면허 취소 절차에 착수하고, 제3자 공모 방식으로 새로운 사업자를 선정하겠다고 밝혔다.[7]
- 2005년 ~ 현재: 노동자 자주관리 기업으로 전환
- 2005년 1월 10일: 노사 간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었다.[8]
- 2005년 1월 20일: 협동조합형 노동자 자주관리 기업으로 새롭게 출발하였다.[9][10][11]
- 2005년 5월: 저상버스를 도입하였으나, 회사는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12]
- 2005년 8월: 조합원들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고, 복대동 차고지를 매각, 용암동 차고지를 리모델링하여 차고지를 통합하였다.[13]
- 2006년 1월: 자주경영 1년 만에 소폭의 흑자를 기록하며 정상화의 길을 열었다.[14]
- 2008년: 우진교통 차고지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개발하는 동남택지지구에 편입되어 차고지를 잃을 위기에 처하자, 운행 차량에 빨간색 리본과 측면 현수막을 설치하여 운행하였다.[15]
- 2009년 6월: 청주시와 시민단체의 중재로 차고지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존치부담금의 25%만 부담하게 되었다.[16]
- 2010년 6월: 2010년 FIFA 월드컵 16강전 승리를 기원하고, 청주종합경기장 거리응원 시민들의 귀가를 돕기 위해 시내버스를 무료로 운행하였다.[17]
- 2011년 2월: 우진교통 부서 체제가 개편되었다.[18]
- 2014년: 현대 블루시티 저상형 CNG 하이브리드 버스를 반입하고, 충북민예총과 공동으로 '버스와 함께하는 예술여행'을 선보였다.[19]
- 2015년 7월 22일: 목련로 290 (월오동)에 약 1만여m2 부지에 제2 차고지를 건립하였다.[20]
- 2019년 11월 9일: 청주시내버스 일부 노선이 월오동 제2 차고지를 종점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2. 1. 설립 초기 (2001년 ~ 2004년)
2001년 1월 8일 충북리무진이 충일관광여행사 청주시내사업부를 인수하여 우진교통을 설립하였다.[1] 2002년에는 CNG 버스를 도입하였다.2003년 7월 9일 충북지방노동위원회에서 임금체불 등으로 5% 중재안도 거부당하자 동일운수, 청신운수와 함께 파업에 참여하였고,[2] 7월 10일 노사가 한 발씩 양보하는 선에서 운행을 재개하였다.[3]
2004년 7월 24일 그러나 끊이지 않는 임금체불 등으로 인한 파업 돌입과 동시에 운행이 중단되었고,[4] 8월 25일 사측은 직장폐쇄로 맞섰다.[5] 9월 회사가 부도를 맞게 되었으며,[6] 11월 청주시는 우진교통의 버스사업 면허 취소 절차 착수와 함께 제 3자 공모 방식으로 새로운 사업자를 선정하겠다고 밝혔다.[7]
2. 2. 노동자 자주관리 기업으로 전환 (2005년 ~ 현재)
2005년 1월 10일 노사 간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었다.[8] 1월 20일, 우진교통은 운행을 재개함과 동시에 협동조합형 노동자 자주관리 기업으로 새롭게 출발하였다.[9][10][11] 5월에는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하였으나, 회사는 유동성 위기를 겪게 되었다.[12] 8월, 조합원들의 노력으로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고, 현 신영 지웰홈스 아파트 자리에 있던 기존 복대동 차고지를 매각하고 용암동 차고지를 리모델링하여 차고지를 통합하였다.[13]2006년 1월, 자주경영 1년 만에 소폭의 흑자를 기록하며 정상화의 길을 열었다.[14] 2008년에는 우진교통 차고지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개발을 주관하는 동남택지지구에 편입되어 차고지를 잃을 위기에 처하게 되자, 운행 차량에 빨간색 리본과 측면 현수막을 설치하여 운행하였다.[15] 2009년 6월, 청주시와 시민단체의 중재로 차고지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존치부담금의 25%만을 부담하면서 차고지를 유지하게 되었다.[16]
2010년 6월, 경영 정상화에 대한 격려에 감사하며 남아공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 16강전 승리를 기원하고, 시민들이 베풀어준 고마움에 보답하고자 청주종합경기장 거리응원 시민들의 귀가 편의를 위해 시내버스를 무료로 운행하였다.[17] 2011년 2월에는 우진교통 부서 체제가 개편되었다.[18]
2014년에는 현대 블루시티 저상형 CNG 하이브리드 버스를 반입하고, 충북민예총과 공동으로 '버스와 함께하는 예술여행'을 선보였다.[19] 2015년 7월 22일에는 목련로 290 (월오동)에 약 1만여m2 부지에 제2 차고지를 건립하였다.[20] 2019년 11월 9일부터 청주시내버스 일부 노선이 월오동 제2 차고지를 종점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3. 운행 차량
2020년 10월 기준, 우진교통은 청주시 내 6개 버스 업체 중 가장 많은 총 129대의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모든 차량 후면에는 "양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문구가 부착되어 있다.
3. 1. 차종
우진교통은 우진산전과 현대자동차의 버스를 운용하고 있다.3. 1. 1. 우진산전
우진산전 아폴로 11003. 1. 2. 현대자동차
4. 갤러리
참조
[1]
문서
당시 충북교통이다
[2]
뉴스
3개 회사 왜 파업하나
http://www.mbccj.co.[...]
MBC 청주문화방송
2003-07-09
[3]
뉴스
시내버스 정상화
http://www.mbccj.co.[...]
MBC 청주문화방송
2003-07-10
[4]
뉴스
우진교통 노조, 파업 돌입
http://cheongju.kbsk[...]
KBS 청주방송총국
2004-07-24
[5]
뉴스
우진교통 직장폐쇄놓고 노사쟁점
http://cheongju.kbsk[...]
KBS 청주방송총국
2004-08-26
[6]
뉴스
청주 우진교통 최종 부도
http://cheongju.kbsk[...]
KBS 청주방송총국
2004-09-03
[7]
뉴스
새 사업자 선정 추진
http://cheongju.kbsk[...]
KBS 청주방송총국
2004-11-17
[8]
뉴스
청주 우진교통 노사 합의
http://cheongju.kbsk[...]
KBS 청주방송총국
2005-01-10
[9]
뉴스
우진교통, 오는 20일부터 운행 재개
http://cheongju.kbsk[...]
KBS 청주방송총국
2005-01-14
[10]
뉴스
노조가 운영 첫 시험대
http://www.mbccj.co.[...]
MBC 청주문화방송
2005-01-19
[11]
문서
현재 협동조합 전환을 위해 법적인 절차를 밟고 있다
[12]
뉴스
우진교통 유동성 위기
http://www.mbccj.co.[...]
MBC 청주문화방송
2005-05-10
[13]
문서
그러나 차고지 면적에 비해 보유 차량이 많은 관계로 이 때 일부 차량의 동부종점 심야 주박도 함께 생기며 이는 2015년 제 2 차고지 건립으로 사라진다
[14]
뉴스
우진교통, "흑자냈다"
http://www.mbccj.co.[...]
MBC 청주문화방송
2006-01-19
[15]
뉴스
우진교통 공중분해위기
http://www.mbccj.co.[...]
MBC 청주문화방송
2008-09-26
[16]
뉴스
우진교통 차고지 `존치` 합의
http://cheongju.kbsk[...]
KBS 청주방송총국
2009-06-30
[17]
뉴스
우진교통, 16강전 무료버스 운행
http://www.cctimes.k[...]
충청타임즈
2010-06-24
[18]
문서
경리과 → 경리부, 영업부 → 고객서비스지원부, 총무부 → 자주관리실, 시설관리부: 3부 1실로 개편하고 자주관리교실을 운영한다
[19]
뉴스
시내버스서 詩 읽어요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2015-06-16
[20]
뉴스
새로운 10년 역사 쓴 우진교통 김재수 대표의 미소
http://www.cbinews.c[...]
충북인뉴스
2015-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